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좋습니다.

재무학의 개요 본문

2022-01/재무의이해

재무학의 개요

KIMVELYY 2022. 3. 6. 19:35

금융과 재무의 역할

- 자본을 현재와 미래 시점간에 개입된 불확실성의 장벽을 넘어 이동시키면서 경제 문제를 해결.

- 인간의 삶을 개선하고 경제를 성장시키며 혁신을 통해 효율화 (자본시장의 발전, 주식회사의 탄생, 금융상품의 혁신)

- 인류 문명의 지식체계와 사고방식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침.

 

재무학(Finance)의 개념

- 기업이나 증권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며 (가치평가), 그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.

- 경제학적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발전된 체계적 지식. (재무경제학 / 금융경제학)

 

재무학의 분야

- 기업재무 (corporate finence)

  : 기업가치의 극대화를 달성하기 위한 제반 재무의사결정 (투자의사결정, 자본조달의사결정, 배당의사결정)

- 투자론 (investments)

  : 자본시장과 금융상품의 가격결정의 원리를 분석 (재무학 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발전시키는 견인차 역할)

 

<기업의 목표>

기업의 본질

- 기업 : 이해관계자들(stakeholder) 사이에 맺어진 계약들의 결합체(nexus of contracts)

-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유인(incentive)과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상호 작용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.

- 재무학의 기본원리는 자본주의 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업. 특히 주식회사를 대상으로 적용.

 

기업가치의 극대화

- 주주, 채권자, 경영자, 노동자, 협력업체 등의 이해관계를 상충됨.

-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일차 조건은 기업전체 가치의 극대화 (maximization of firm value)

  : 경쟁상황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한 전제 조건

- 극대화된 기업가치에 대해 이해관계자들의 몫을 나누는 것은 이차 문제임.

 

이해관계자는 고정청구권자(fixed claimant)

- 채권자 : 채권에 명시된 이자와 원금

- 노동자 : 노동계약서에 명시된 임금(기업가치와 무관한 확정금액에 대한 청구권 보유)

- 정부 : 세법에 따라 부과하는 법인세

- 주주 : 이해관계자들에서 최후순위로 잔여재산의 청구권 행사

  -> 잔여청구권자(residual claimants)

  -> 기업 청산시 주주는 출자한 금액(지분)에 대해서만 유한책임(limited liabilities) 부담

 

대리문제 (agency problem)

- 주인-대리인 문제(principal - agent problem)는 대리인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주인의 이익에 반하는 행위

- 이해관계자 사이의 이해충돌(conflict of interest)을 모두 포괄

- 계약은 대리문제를 해결하는 기본적 방법으로 대리문제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과 대리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처리 방법. (외부의 법률적 제약, 내부 성과평가기준, 보상/승진 기준 등)

- 계약을 마련하고 강제하기 위해 대리비용(agency cost)이 발생함. 

 

이윤 극대화(profit maximization)목표에 대한 비판

- 이익은 일정 기간 동안의 흐름(유량, flow)의 개념.

- 기업의 이익은 회계 기준에 따라 인위적으로 측정.

 

기업가치 극대화와 자기자본가치 극대화의 관계

- 기업가치가 고정청구권자들의 확정금액보다 크면 주주에게 귀속될 몫은 기업가치에 비례하여 증가

- 기업가치 극대화 = 자기자본가치 극대화

- 자기자본가치 극대화 = 주주의 부(shareholder's wealth)의 극대화 = 주가의 극대화

 

주가의 극대화의 타당성

- 주가는 실시간으로 시장에서 결정되므로 비교적 정확하게 주주의 부를 관찰 가능.

- 경영자가 주가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하면 의사결정기준도 단순해지며, 의사결정에 대한 사후적 평가도 주가의 반응으로 파악.

 

주주자본주의 (shareholder capitalism)

- 주주에 의해 선임되고, 주주에게 책임을 지는 경영자는 기업의 자원을 주주 부의 극대화를 위해 사용해야함.

- 경영자가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기업의 자원을 사용하는 행위는 사회적으로 비효율적.

- 경영자는 주주에 의해 경영전무가의 자격으로 선임

  -> 사회에 자원을 배분해서 사회적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사회 설계자는 아님

- 주주자본주의는 자유시장경제를 지탱하는 근본 원리

 

이해관계자자본주의 (stakeholder capitalism)

- 주주자본주의가 부의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견해.

- 기업경영이 주주만이 아니라 모든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키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개념.

- 이해관계자의 범위를 사회, 국가, 인류 사회까지 확장하여 기업의 자원을 사회적 목적에 사용할 것을 요구

- ESG (Environmental, Social, and Governance)는 환경과 지배구조에 '사회'를 추가한 것으로 이해관계자자본주의와 관련.

- 기업의 '사회'에 대한 자원 배분이 기업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의사결정이 아니라면 기업의 경쟁력과 기업가치가 훼손.

 

<재무의사결정>

증권시장의 기능

- 자본의 수요와 공급 연결

  : 자본의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여 적합한 상대방을 찾는데 소요되는 탐색비용이 감소

- 소유와 경영의 분리

  : 기업소유주와 전문경영인의 분업으로 경영 효율성 제고

  : 주주와 경영자간 대리 문제 해결

- 자원의 효율적 배분

  : 기업은 공정한 가격으로 자본을 조달

  : 실물투자 및 금융투자의 의사결정 기준 제공

 

<재무관리자의 과제>

기업의 재무상태표

기업의 시장가치 청구권의 시장가치  
유동자산

비유동자산
유동부채
비유동부채
타인자본
자 본 자기자본

투자의사결정

- 기업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자산에 얼마나 투자할 것인가하는 의사결정 (자본예산편성)

- 직접 생산할 것인가 아니면 아웃소싱으로 외부에 맡겨 생산할 것인가

- 자체적으로 신규 사업을 수행할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회사나 사업부문을 인수할 것인가

- 재무상태표의 차변항목에 대한 최적의 자산구성

  : 증권투자, 실물투자, 인수/합병 (M&A), 운전자본관리

 

자본조달의사결정

- 기업가치 극대화를 전제로 투자에 소요되는 자본의 효율적 조달기능

- 어떤 증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것인가

- 장기적인 자본구조, 즉 부채와 자본의 최적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

  : 재무상태표의 대변항목에 대한 최적의 자본구성

 

배당의사결정

- 기업의 영업활동으로 창출한 이익은 사업에 재투자(사내유보)하거나 주주에게 배당

- 경영성과와 미래의 투자기회를 고려하여 재투자 규모와 주주에게 지급할 배당규모를 결정

  : 현금배당, 주식배당, 주식분할, 자사주매입

 

<재무학의 발전과정>

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의 재무학 업적

마코위츠 - 1952 포트폴리오이론 (portfolio theory)

샤프 - 1964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(capital asset pricing model)

모딜리아니, 밀러 - 1958 자본구조이론 (capital structure theory)

파마 - 1970 실증재무학 (empirical finance)

숄즈, 머튼 - 1973 옵션가격결정모형 (option pricing model)

캐너먼, 쉴러, 세일러(1985) - 1979 행태재무학 (behavioral Finance)